분류 전체보기 12

[업무자동화] 엑셀 파일 수십 개? Google Colab에서 1분 만에 자동으로 합치는 법

1.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 개의 엑셀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꿀팁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실무를 하다 보면 이런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매월 받은 보고서를 연간 데이터로 합쳐야 하는데...여러 부서에서 받은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해야 하는데...각 지점의 매출 데이터를 한눈에 보고 싶은데...일일이 수작업으로 하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수할까 걱정되시죠?제가 오늘 아주 쉬운 해결책을 알려드릴게요!파이썬을 한 번도 써보지 않으셨다구요? 걱정 마세요!구글에서 제공하는 Google Colab만 있으면 파이썬을 몰라도, 따로 설치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먼저, 바로 실행해볼 수 있는 코드 파일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공유해 드립니다!코드 확인하기 2. Google Colab 시작하기먼저 G..

프로그래밍 2025.02.15

2025년, 새해 목표 세워보기

이 글에서는 22년부터 새해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며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와 그 과정에서 배운 점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목표 설정이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 매번 실패하는 것 같아 좌절하시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목표 설정의 중요성목표를 세우는 것은 내 인생에서 가고싶은 목적지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일이며 그 곳으로 가기위한 방법을 찾는 일이다. 또한 올 한해 이루고 싶은 것들을 고민하는 과정은, 내 인생에서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나의 시행착오와 깨달음 (2022-2024)2022년: 첫 시도와 실패처음으로 진지하게 새해 목표를 세웠던 해다. '운동하기', '책 많이 읽기', '새로운 취미 배우기' 같은 모호한 목표들을 나열했다. 결과는? 3..

의식의 흐름 2025.01.05

판교 퇴근길 밋업: 7년간의 회고에서 얻은 깨달음

지난 12월 18일, 판교 퇴근길 밋업에 참석했다. 이번 밋업의 주제는 '7년 동안 회고하며 깨달은 것들'이었고, 발표는 데이터 과학자이자 인프런 강사로 활동 중인 변성윤님이 맡으셨다. 평소 회고와 자기 성찰에 관심이 많았던 나에게 이번 강연은 꼭 들어야 할 내용이었다. 특히 강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뽀모도로 방식을 활용해 자신의 회고를 직접 진행해보는 시간까지 마련되어 있어 더욱 뜻깊었다. 덕분에 많은 영감을 얻고 돌아올 수 있었다.성윤님!변성윤님은 내가 이번 밋업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이유였다. 데이터 분석가로의 직무 전환을 준비하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자료가 바로 성윤님의 블로그였기 때문이다. 팬으로서 직접 뵐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설레었고, 발표에서 데이터와 글쓰기를 연결하는 이..

의식의 흐름 2024.12.22

AI 시대, 데이터 분석가는 어떻게 해야할까

AI 시대에 접어들면서 나 스스로도 데이터 분석가 직군의 역할과 생존 전략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생성형 AI, LLM, 자동화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기존 데이터 직군의 업무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하용호님의 강의를 접하게 되었고, 인상 깊어 정리하여 공유한다. 강의가 보고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 하길 바란다.[지금 무료]AI시대 데이터 직군을 위한 생존 전략 강의 | 하용호 - 인프런1. 데이터 직군, 변화의 시작데이터 직군은 지난 10여 년간 세분화되어 왔다.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적재하는 역할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역할ML 엔지니어: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서빙하는 역할하지만 지금 이 구조는 흔들리고 있다. 생성형 AI와 대규모 ..

의식의 흐름 2024.12.22

[파이썬] 로또 당첨번호 크롤링 완벽 가이드 (동행복권 웹스크래핑)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을 사용하여 동행복권 사이트에서 역대 로또 당첨번호를 크롤링하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1. 개요동행복권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로또 당첨번호 데이터를 수집병렬 처리를 통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안정적인 크롤링을 위한 재시도 로직 구현2. 필요한 라이브러리import requestsfrom datetime import datetimeimport pandas as pdfrom bs4 import BeautifulSoupimport concurrent.futuresimport timefrom requests.adapters import HTTPAdapterfrom requests.packages.urllib3.util.retry import Retry3. 주요 기능 구현3.1 안정적인..

프로그래밍 2024.12.06

페이커의 첫 기조연설 완벽 분석 - 도전, 실패, 그리고 성장의 3가지 비밀

프로게이머 페이커 이상혁이 첫 기조 연설에서 전한 메시지는 도전과 실패, 그리고 성공에 관한 진솔한 이야기였다. 12년간의 프로게이머 생활을 통해 얻은 그의 통찰은 도전 정신과 실패의 가치, 그리고 겸손의 중요성을 담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가 청년 세대에게 전하고자 한 영감 어린 메시지를 살펴보자.새로운 길을 개척한 첫 기조 연설처음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대중 앞에서 나누게 된 페이커는, 2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에 대한 소회를 전했다. 화려한 무대가 아닌 이 자리에서 그는 자신의 여정을 있는 그대로, 진정성 있게 나누고자 했다.어린 시절부터 이어진 도전의 여정1996년생인 페이커는 네 살 때부터 디지털 기기와 친숙했고, 18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프로게이머의 길을 선택했다. ..

의식의 흐름 2024.12.03

경영정보시각화 자격증 시험 후기 - 필기, 실기 도전기

안녕하세요! 최근 경영정보시각화 자격증 시험에 도전했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필기시험은 합격했지만, 실기에서는 아쉽게도 불합격한 저의 솔직한 후기를 전해드립니다.시험 개요자격증명: 경영정보시각화시험 구성: 필기 + 실기응시 시기: 필기: 2024년 5월 18일실기: 2024년 9월 28일필기시험 준비 과정과 합격 포인트학습 방법시험 하루 전 홈페이지에 게시된 필기 모의문제 2회 반복시험 당일 후기필기 모의문제가 그대로 나와서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사실상 날로 먹은 필기 시험이었습니다.실기시험 후기준비 과정필기 시험과 마찬가지로 시험 3일 전부터 홈페이지에 게시된 실기 모의시험 문제를 2회 반복했습니다. 유튜브에 강승일님이 실기 문제를 풀이해주신 영상을 보면서 이번에도 날로 먹을 수 있겠구나 생각..

데이터 2024.11.15

2024년,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전문가가 되는 길 – BI Specialist 자격증 안내

빅데이터의 힘을 제대로 활용하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주목해주세요! 2024년에 새롭게 도입된 '경영정보시각화능력 BI Specialist' 자격증이 바로 당신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BI Specialist란? Business Intelligence, 즉 BI Specialist는 기업의 내외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전문가를 의미합니다. 이 자격은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능력을 검증하며, Power BI와 Tableau와 같은 최신 도구를 활용하여 대시보드와 리포트를 제작하는 실무 능력을 평가합니다. 왜 BI Specialist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나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이제 모든 산업 분야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이 자격증은 당신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 2024.03.20

2024년 2월 회고

2월을 아보며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적어보기. 1. 2월에 한 것 제주도 여행(한라산 등반!) 꾸준하게 운동(23회!) ADsP 자격증 시험 2. 2월은 어땠나 2.1 좋았던 점 나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던 겨울 한라산 드디어 등반 성공! 12월부터 지금까지 꾸준하게 다치지 않고 운동하고 있다! ADsP 자격증 시험 응시! 2.2 아쉬웠던 점 연휴에 너무 아무 것도 하지않음(뒹굴뒹굴) 술을 너무 자주 마심(혼술도) 열심히 하려고 한 것(오히려 더 안하게 됨) 이번 달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가 없었음 3. 3월의 계획 새로운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도토레터 시즌2) SQL 공부 시작(SQL 레시피) 너무 완벽하게 하려고, 잘하려고 하지 않기(그냥 해~)

의식의 흐름 2024.03.02

알파고는 어떻게 이세돌 9단을 이겼나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그중에 하나인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1. 왜 사람들은 알파고의 승리에 그토록 놀랐을까? 그것은 아마도 바둑이라는 경기가 지닌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우리가 바둑에서 컴퓨터가 사람에게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한 이유는 너무 많은 경우의 수였다. 그러나 알파고는 기보에서 학습된 사례를 기반으로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MCTS : Monte Carlo Tree Search) 라는 알고리즘을 통해 의미 있게 돌이 놓이는 위치만을 선택해서 확률을 계산한다. 2.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는? 몬테크를로 트리 서치라는 이름은 모나코의 몬테카를로라는 도박으로 유명한 도시에서 따왔다고 한다 컴퓨터 과학에서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Monte Carlo tr..

프로그래밍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