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의 흐름

2025년, 새해 목표 세워보기

밍키. 2025. 1. 5. 16:27

이 글에서는 22년부터 새해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며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와 그 과정에서 배운 점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목표 설정이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 매번 실패하는 것 같아 좌절하시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표 설정의 중요성

목표를 세우는 것은 내 인생에서 가고싶은 목적지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일이며 그 곳으로 가기위한 방법을 찾는 일이다. 또한 올 한해 이루고 싶은 것들을 고민하는 과정은, 내 인생에서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


나의 시행착오와 깨달음 (2022-2024)

2022-2024 목표 대시보드들

2022년: 첫 시도와 실패

처음으로 진지하게 새해 목표를 세웠던 해다. '운동하기', '책 많이 읽기', '새로운 취미 배우기' 같은 모호한 목표들을 나열했다. 결과는? 3월이 되자 대부분의 목표를 잊어버렸다.

2023년: 구체화의 힘

실패를 교훈 삼아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웠다. '주 3회 운동하기', '월 1권 이상 독서하기', 자격증 취득하기 등. 이전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얻었지만, 여전히 일부 목표는 중간에 포기했다.

2024년: 균형과 실현가능성

목표의 수를 줄이고, 각 목표마다 '왜'라는 이유를 명확히 했다. 또한 매달 점검하는 습관을 들였다.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인 한 해를 보내고 있다.


목표설정 방법

  1.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가벼운 마음으로 목표 세우기
    • 목표는 상황에 따라서 언제든 변경이 가능하다!
    • 완벽주의 버리기. ‘못하면 어쩔 수 없지~’ 마인드 가지기
  2. 최소한의 목표를 세워 집중하기
    • 최소한의 과녁에 최대한의 에너지 쓰기(선택과 집중)
  3. 1년, 52주 동안 이룰 수 있는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 설정하기
    • 주 단위로 내가 한 주에 몇 번 할 수 있는지 계산해 보고 목표 세우기
    • 너무 무리한 목표 지양 (욕심 부리지 않기)
      • 정말 설렁설렁 대충해도 할 수 있는 정도의 목표로
    •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건지 방법 생각해보기
      • 예를 들어 운동이라면 무슨 운동을 할 건지 정도
  4. 마일스톤(중간 점검 목표)이 필요하다!
  5.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 한 가지 정하기
    • 실현 가능한 목표도 필요하지만, 실현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적인 목표도 하나쯤 필요하다.
  6. 마지막으로 인생은 절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걸 명심하기

목표 실행과 관리를 위한 팁

2025년 목표 대시보드 보러가기

지속적으로 목표를 실행해 나가는 방법은 바로 기록이다. 나는 노션에 내가 한 것들을 기록하여 매일 매일 목표 진행도를 체크하고 있다.

위와 같이 캘린더에 내가 한 것들을 기록하면 왼쪽 대시보드에 자동으로 집계된다!

위 대시보드를 통해 매일 나의 진행도를 체크해볼 수 있다. 또한 주, 월별로 진행상황을 점검하여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목표를 수정하기도 한다.


마치며

3년간의 경험을 통해 깨달은 가장 중요한 점은 '완벽한 목표'는 없고 인생은 절대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시작하고, 꾸준히 하고, 배우면서 조정해나가는 과정이다. 시작은 어렵겠지만, 일단 시작하면 달리는 자전거의 패달을 밟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자신을 보게 될 거라 확신한다.
2025년, 당신만의 의미 있는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시길 바란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작은 것부터 시작해보자. 그리고 무엇보다, 이 여정을 즐기면서 가보자.